CENTER NOTICE

참여와 소통

home  arrow  참여와 소통  arrow  사회적경제 소식

사회적경제 소식

게시물 상세
[한겨레] 사회적경제는 기후위기 대응의 해결사가 될 수 있을까?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2-02-25   조회수 : 246

기사입력 2022.02.19. 오후 12:41 최종수정 2022.02.19. 오후 12:53

 

충북 오송에서 ‘사회적경제활성화전국네트워크’ 정책워크숍 열려
민관 파트너십 강화·워킹그룹 역할의 중요성 확인
“지자체-시민-사회적경제 잇는 노력 계속돼야”
2월17~18일 충북 오송 에이치호텔 세종시티에서 기후위기 대응과 사회적경제의 역할, 사회적경제의 현재와 미래(지역·돌봄·일자리·양극화)를 주제로 ‘2022년 사회적경제활성화전국네트워크 정책워크숍’이 열렸다. 이번 행사는 사회적경제활성화전국네트워크가 주최하고,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이 후원했다.

미국 서부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지역은 한때 미국 중공업의 상징으로 불렸으나 산업 쇠퇴와 함께 화려한 명성을 잃고 여느 낙후된 중소도시와 마찬가지로 쇠락을 길을 걸었다. 하지만 지역의 ‘앵커(닻)’ 기관인 대학, 대형 병원, 공공기관 등을 중심으로 협동조합을 통해 지역경제를 회복시키며 클리블랜드 모델을 널리 알렸다. 앵커 기관이 필요한 물품·서비스 등을 지역사회 기반 업체와 조달 계약을 맺어 지역경제의 선순환을 도모했다. 이들의 성공은 커뮤니티 자선재단인 클리블랜드재단, 지역사회에서 인적·물적 인프라를 제공해 온 앵커 기관들, 공적 주체인 클리블랜드시, 그리고 오래전부터 지역사회와 관계를 맺으며 공동체 형성 활동을 해온 풀뿌리 단체들이 워킹그룹 역할을 했었기에 가능했다. 코로나19처럼 예상치 못한 위기가 발생하는 이때 민관 파트너십의 형성은 물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의 연결고리를 만드는 워킹그룹의 역할은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공공과 사회적경제 주체, 지역사회와 지역주민을 잇고 변화의 물꼬를 트려는 움직임이 시작되고 있다. 사회적경제활성화전국네트워크(이하 전국네트워크)는 17~18일 이틀간 충북 오송 에이치호텔 세종시티에서 ‘2022년 사회적경제활성화전국네트워크 정책워크숍’을 열었다. 네트워크는 2011년 와이엠시에이(YMCA), 와이더블유시에이(YWCA),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등 3개 시민단체에 의해 설립된 민관협의체로 사회적경제 확산을 위해 전국적인 네트워크 구축과 활동을 하고 있다. 전국에서 모인 활동가들은 지난해 바이소셜(Buy Social) 캠페인을 기후위기라는 시대적 과제 해결과 연결 지으려고 시도했던 고민의 결과를 나눴다.

이번 정책워크숍에는 사회적경제활성화전국네트워크 운영위원, 지역네트워크 운영위원장·사무국장, 전국네트워크 사무국,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등 관계자 30명이 함께했다.

김선철 기후정의활동가, 이지훈 국민총행복정책연구소 소장의 강연에 이어 기후위기대응 지역네트워크 운동 전략에 관한 사례 발표가 이어졌다. 부산, 인천, 울산, 전북 네트워크는 지난해 진행한 실천을 공유했다. 인천 와이더블유시에이(YWCA) 서순아 팀장은 청소년 모니터링단 ‘올바른’과 함께 진행한 ‘놉!캠페인(No Plastic for Earth)’을 소개했다. 인천 네트워크는 3차례의 교육을 마친 청소년들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알리는 온라인 카드뉴스 제작, 대나무 칫솔, 고체치약 사용 등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제로 웨이스트 캠페인을 교내에서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서순아 팀장은 “청소년의 변화로 가족과 이웃의 변화를 연결하고, 이를 다시 사회적경제조직과 결합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 올해의 과제”라고 말했다. 전북 네트워크의 조용희 사무국장은 지난해 11월 전주에서 열린 ‘기후위기 시대 사회적경제를 통한 지역자원순환 대응 전략’ 포럼을 통해 사회적경제가 지역자원순환의 주체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참여와 지지로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토론에 나선 푸른아시아 오기출 상임이사는 기후위기 과제를 해결하려는 시민들의 의지가 중요하다며 “풀뿌리 중심으로 지역의 자원을 발굴·연결하는 워킹그룹을 만들어 이들과 함께 정책을 제안하고, 지자체의 정책을 다시 지역사회 안에서 소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남겼다.

대구 와이더블유시에이 정은영 국장은 “지역에서 사회적경제 당사자와 시민을 연결하는 동시에 기후위기 대응 활동을 펼치는 데 필요한 인프라, 네트워크를 모두 갖춰야 한다는 부담도 있지만, 그동안 진행해 온 텀블러 사용, 재활용의 일상화를 뛰어넘는 실천을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함께한 유승직 숙명여대 교수(기후환경융합학)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활동은 일회성이 아니라 우리 일상생활 속에 체질화되어야 하며 반드시 실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민 전국네트워크 운영위원장은 “2년 동안 16개 광역단위에서 기후문제대응이라는 동일한 프로그램과 기조를 갖고 실천 사례를 만드는 경우는 드물다”며 “지역사회에서 개별 사회적경제만이 아니라 여러 주체와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공동의 성과를 만들어내는 운동이 앞으로 지속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전글 [SK프로보노] [해피테스터] 앱/웹 사용성 개선 자문 프로그램 참여 기업 모집 (2022/02/21 ~ )
다음글 [NEWS1] 서울시, 만 45세~67세 인턴 300명 모집…"일자리 2막 도전"